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상 정보65

앵커링 효과 란 무엇인가? (심리학, 세일 가격의 함정, 닻내림 효과) 오늘의 주제는 앵커링 효과 입니다. 여러분은 쇼핑을 하다가 어떠한 제품이 50% 세일한다는 것을 보고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여 구매한 기억이 있나요? 또는 길을 걷다가 어떤 음악을 듣게되니 어떠한 사람이나 추억이 떠올랐던 기억이 있지는 않나요? 이러한 현상들은 우리에게 앵커링 효과(닻내림 효과) 가 작용해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 우리는 일상속에서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다양한 고정관념 또는 기준점을 만들어서 판단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만들어내는 앵커링 효과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앵커링 효과란? 앵커링 효과는 심리학자이자 행동경제학의 창시자 '대니얼 카너먼' 과 심리학자 '아모스 트버스키' 가 실험을 통해 증명한 개념입니다. 앵커는 닻 이라는 의미인데, 항구에.. 2023. 4. 8.
링겔만 효과 란 무엇인가? (심리학, 사회적 태만, 나 하나쯤은 괜찮겠지) 혼자가 아닌 누군가와 협력한다는 것은 분명 효과적이고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이 협력해서 일을 한다고 할 때, 과연 그들 개개인의 능력이 온전하게 일의 결과에 반영될 수 있을까요? 오늘은 링겔만 효과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에서 여러 사람들과 관계를 유지하고 그들과 협력하는 것은 중요한 부분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잘 알려진 속담인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라는 말이나 영어권의 속담인 'Many hands make light work.(많은 손들이 일을 가볍게 만든다.)' 등의 표현은 '쉬운 일을 하더라도 서로 돕고 힘을 합치면 훨씬 더 쉬워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서로 협력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속담들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혼자서 일을 할때는 버겁거.. 2023. 4. 8.
확증편향 이란 무엇인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골라서 믿는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확증편향 이라고 말합니다. 확증편향은 자신의 기대 또는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는 쉽게 수용하지만, 그와 어긋나는 정보는 그것이 아무리 객관적이고 올바르다고 할지라도 무시해버리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런 태도는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던 '인지 부조화' 상태를 겪을 때 취하게 되는 태도 중의 하나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은 자신이 가진 신념과 모순되는 결과가 발생했을 때 인지 부조화 상태를 겪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미 벌어진 결과에 대해 스스로 납득할 수 있을만한 이유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인지 부조화와는 약간 다르게, 확증편향은 기존의 신념을 계속 유지한 채, 그 신념이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정보들만 .. 2023. 4. 8.
넛지 Nudge 란 무엇인가? (선택과 행동을 조종하는 심리학) 일상에서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누군가의 의도대로 행동하게 된다는 생각을 해본 적 있나요? 어떤 물건을 충동구매하게 된다거나, 나도 모르게 어떠한 행동을 하게 된다거나 말입니다. 이렇게 자연스러운 심리를 자극해 어떠한 선택을 유도하는 것을 '넛지'라고 합니다. 영어단어 'Nudge'의 사전적인 의미는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라는 뜻으로, 우리가 종종 슬쩍 눈치를 준다고 표현하듯 주의를 환기시킨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오늘 이야기할 넛지는 리처드 탈러와 캐스 선스타인이 공동으로 집필한 우리나라에서 특히 많은 인기를 끌었던 '넛지'라는 책에서 사용된 새로운 의미로써의 넛지입니다. 이 책에서는 넛지를 '옆구리를 팔꿈치로 툭 찌르듯, 타인에게 어떠한 선택을 유도하게 만드는 부드러운 개입'이라는.. 2023. 4. 7.
인지 부조화란 무엇인가? (심리학, 인지 부조화와 자기 합리화) 인간은 보통 스스로 신념을 가지고, 그 신념이 곧 행동을 결정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리언 페스팅거는 그의 저서 '인지적 부조화 이론'을 통해 "인지 부조화"라는 용어를 제시합니다. 인지 부조화는 사람들이 자신이 가진 신념과 실제로 행한 행동이 서로 일관되지 않아 그 사이에서 모순이 발생할 때 느끼는 불편한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자신의 신념과 행동 사이에 괴리가 존재할 경우, 인간은 자신이 어리석고 모순된 존재라는 생각이 들면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심리적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인지 부조화'라고 하며, 이는 자기 합리화로 나아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인지 부조화 상태가 발생하면 마음속 존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 2023.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