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간2

확증편향 이란 무엇인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는다) 사람들은 자신이 믿고 싶은 것만 골라서 믿는다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심리학에서는 이를 확증편향 이라고 말합니다. 확증편향은 자신의 기대 또는 신념에 부합하는 정보는 쉽게 수용하지만, 그와 어긋나는 정보는 그것이 아무리 객관적이고 올바르다고 할지라도 무시해버리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런 태도는 지난 글에서 이야기했던 '인지 부조화' 상태를 겪을 때 취하게 되는 태도 중의 하나로도 볼 수 있습니다. 인간은 자신이 가진 신념과 모순되는 결과가 발생했을 때 인지 부조화 상태를 겪게 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미 벌어진 결과에 대해 스스로 납득할 수 있을만한 이유를 만들어내게 됩니다. 인지 부조화와는 약간 다르게, 확증편향은 기존의 신념을 계속 유지한 채, 그 신념이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정보들만 .. 2023. 4. 8.
인지 부조화란 무엇인가? (심리학, 인지 부조화와 자기 합리화) 인간은 보통 스스로 신념을 가지고, 그 신념이 곧 행동을 결정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리언 페스팅거는 그의 저서 '인지적 부조화 이론'을 통해 "인지 부조화"라는 용어를 제시합니다. 인지 부조화는 사람들이 자신이 가진 신념과 실제로 행한 행동이 서로 일관되지 않아 그 사이에서 모순이 발생할 때 느끼는 불편한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자신의 신념과 행동 사이에 괴리가 존재할 경우, 인간은 자신이 어리석고 모순된 존재라는 생각이 들면서 불편한 감정을 느끼게 됩니다. 이러한 심리적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인지 부조화'라고 하며, 이는 자기 합리화로 나아가게 될 수도 있습니다. 인지 부조화 상태가 발생하면 마음속 존재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행동을 취하.. 2023. 4. 7.
반응형